지난 11월 8일 싱가포르에서 아시아권 기자간담회를 연 리드 헤이스팅스 넷플릭스 CEO. ⓒphoto 뉴시스
지난 11월 8일 싱가포르에서 아시아권 기자간담회를 연 리드 헤이스팅스 넷플릭스 CEO. ⓒphoto 뉴시스

미국 미시간주에 살고 있는 21살 대학생 매들린 맥코이는 광범위한 한류 팬이다. 매들린이 K팝과 한류문화를 처음 접하게 된 것은 방탄소년단을 통해서다. 그는 “한국이라는 나라 이름 정도만 겨우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선입견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 대중문화(pop culture)가 각 분야에 걸쳐서 굉장히 다양한 모습을 가지고 있을 줄은 몰랐다. 그런데 방탄소년단을 알게 되고 팬이 되어 그들이 출연하는 TV 방송을 챙겨 보고 내용을 이해하려 한국 대중문화에 대해 공부하기 시작하면서 점점 한류 자체의 팬이 되어가는 걸 느낄 수 있었다.”

매들린은 카카오톡을 쓴다. 한국에 있는 방탄소년단 팬들과 소통하기 위해서다. 그는 한류 팬들에게서 방탄소년단뿐 아니라 한국 배우나 다른 가수들에 대한 정보도 얻는다. 무엇보다 매들린이 가장 많이 시간을 보내는 것은 유튜브다. 2018년까지만 해도 그랬다.

“유튜브에는 팬들이 직접 번역해 영어 자막을 달아 새로 업로드한 한류 콘텐츠가 많았는데 그걸 보면서 아쉬움을 달래곤 했다. 하지만 저작권 문제 때문에 볼 수 있는 콘텐츠가 매우 제한돼 있었다.”

최근 매들린의 ‘갈증’을 해결해준 것은 스트리밍 서비스 넷플릭스였다. 매들린의 친구이자 방탄소년단의 팬인 제일라 밀스는 요즘 배우 현빈이 출연하는 tvN 드라마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을 넷플릭스를 통해 보기 시작했다.

“이전에는 한류 팬들이 전해주는 동영상 파일이나 유튜브, 방송사에서 제공하는 영상으로만 한류 콘텐츠를 접했는데 이제는 거의 실시간으로 볼 수 있어 좋다. 방탄소년단과 상관없는 한류 콘텐츠도 많이 보게 되면서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이해도 깊어졌다.”

매들린과 제일라의 모습은 요즘 한류팬이 어떻게 한류 콘텐츠를 접하는지에 대해 잘 보여주는 예다. 통계자료를 보자.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에 따르면 한류 콘텐츠의 주요 접촉 경로는 2016년과 2017년, 1년 사이 급속도로 변했다. 2016년에 한류 팬이 TV 드라마를 접하던 주된 경로는 각국에서 제공하는 한류 전문 케이블 채널 같은 TV였지만 2017년에는 온라인·모바일 스트리밍 서비스가 이를 추월할 기세로 따라잡았다.

예능프로그램을 접하는 경로는 아예 역전이 됐다. 2016년에는 한류 팬의 60.6%가 TV를 통해서 예능프로그램을 봤지만 2017년에는 62.6%가 스트리밍 서비스로 예능프로그램을 봤다. K팝도 마찬가지다. TV에 비해 2.7%포인트 정도 적게 이용되던 스트리밍 서비스는 2017년에 TV를 앞질러 1년 사이 이용률이 13%포인트 가까이 증가했다.

넷플릭스로 한국 연예인 공부

한류가 새로운 미디어의 영향을 받아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진 것이다. 맨 처음 한류 팬들은 유튜브나 여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소셜미디어를 통해서 자발적으로 영상과 자료를 옮기면서 한류를 전파했다. 직접 한국어를 번역해 영어나 각국의 자막을 달고 관련 정보를 모아 커뮤니티를 만들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한류는 덜 대중적인 문화였다. 팬이 직접 콘텐츠를 찾아야 한다는 것은 진입 장벽이 그만큼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는 이 장벽을 매우 낮게 만들었다. 누구나 한류 콘텐츠를 접할 수 있게 됐고 점점 더 많은 콘텐츠를 찾아볼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유튜브는 한계가 있었다. 저작권의 문제도 그렇지만 팬들이 임의로 편집한 영상들은 연속적이지 않았다. 한류 문화에 대한 인기가 한국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로 깊어지지 못한 데도 이유가 있다. 콘텐츠가 조각나 체계적이지 않게 유통됐기 때문이다. 각국의 케이블 TV 채널에서는 한류 TV 프로그램을 정식으로 송출하곤 했지만 아시아를 제외한 서구권에서는 쉽게 접하기 어려웠다.

그러던 것이 넷플릭스 같은 스트리밍 채널이 등장하면서 달라지기 시작했다. 넷플릭스는 사용자가 접속하는 국가에 따라 서비스되는 영상의 종류가 달라진다. 일본에서 넷플릭스에 접속할 때는 볼 수 있었던 드라마가 한국에서는 볼 수 없기도 하다. 그만큼 넷플릭스가 각 지역 시청자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TV 방영 전부터 넷플릭스와 계약을 맺은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은 한국에서 방영이 끝나자마자 1~2시간 내에 넷플릭스에 자막까지 달린 채로 업로드된다. 미국과 아시아 국가의 한류 팬이라면 거의 실시간으로 드라마를 볼 수 있는 셈이다. 지난 드라마도 순차적으로 서비스되고 있다. 배우 전지현과 김수현이 출연해 중국에서도 큰 인기를 모은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는 아랍어, 프랑스어 자막까지 달려 전 세계 넷플릭스에서 시청할 수 있다.

예능프로그램은 더욱 광범위하게 서비스되고 있다. 배우, 가수를 막론하고 연예인 게스트가 출연해 패널들과 얽혀 방송을 꾸려나가는 예능프로그램 ‘아는 형님’은 거의 모든 국가의 넷플릭스에서 볼 수 있다. 예능프로그램의 영향력은 상당하다. 자신을 모창하는 실력자들 사이에서 정체를 숨기고 출연하는 인기가수들을 다룬 예능프로그램 ‘히든싱어’ 같은 경우는 K팝의 역사를 알아야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매들린 맥코이는 예능프로그램을 통해서 199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가수 김광석의 노래까지 찾아들었다고 한다.

“김광석이라는 가수가 자주 언급되는 것을 보고 한류 커뮤니티에 물어봤다가 무척 유명한 가수라는 걸 알았다. 예능프로그램에 나오는 게스트를 알아야 재미있게 볼 수 있기 때문에 한국 연예인에 대해 한국인들 못지않게 많이 알게 된 것 같다.”

넷플릭스가 지난 11월 8일 싱가포르에 아시아 언론인들을 대거 모아놓고 리드 헤이스팅스 CEO가 직접 나서 아시아 시장의 중요성에 대해 역설한 데는 이유가 있다. 많은 매체들은 넷플릭스가 아시아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것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헤이스팅스 CEO는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엔터테인먼트는 다양한 문화를 잇는 연결고리”라면서 “전 세계를 하나로 모아주는 콘텐츠야말로 넷플릭스의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반영하자면 한류 콘텐츠는 넷플릭스가 다른 아시아 시장을 공략하는 통로가 되는 동시에 아시아 콘텐츠의 양과 질을 늘리는 기회도 될 것이다. 인기드라마 ‘시그널’의 작가인 김은희 작가가 참여한 조선시대 배경의 넷플릭스 드라마 ‘킹덤’은 향후 시즌2까지 제작되어 전 세계에 유통될 전망이다. TV에서 방영되는 한류 콘텐츠는 상당 부분 넷플릭스에도 실시간 업로드된다. 심상민 성신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 교수는 “넷플릭스가 플랫폼 시장을 장악한다는 우려에만 그치면 안 된다”며 “이 과정을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류 콘텐츠가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는 기회를 넷플릭스가 제공해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지금 있는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유통시키려는 노력과 더불어 새로운 양질의 콘텐츠를 개발한다면 한류의 미래가 밝을 것이다.”

김효정 기자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